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위해 제품의 전 과정 측면의 환경성을 생각합니다.
특히, 제품설계 및 구매의 지속가능성 확보는 제조생산 전 단계인
공급망의 환경성 개선의 핵심입니다.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제품개발 단계에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목적으로
지속가능한 제품 및 패키지 개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자체 지속가능한 제품 기준에 따라 달성현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제품
개발 가이드라인

유한킴벌리 제품개발 환경성 개선 가이드라인은 대한민국 환경정책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제품
기준과 기여영역
분야 | 기여영역 | 평가기준 |
---|---|---|
환경성 | 플라스틱 저감 | 원료 소재 저감 비중 |
포장재 소재 저감 비중 | ||
탄소배출량 저감 |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 | |
환경성 강화 | 기타 환경표지 및 저탄소 인증 획득 / 재사용 가능한 제품(Reusable Product) | |
사회성 | 삶의질 개선, 보편적 건강권 등을 위한 제품 |
* 2019년을 기준으로 하여 졍량적인 목표 달성시 지속가능한 제품으로 지칭함
모든 제품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사용, 재활용, 대체를 고려하여
2030년까지 매출 95%를 지속가능한 제품에서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원의 효율적사용,
지속가능 원료 적용 확대 및 재생플라스틱으로의 전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지속가능한 원료제품
라네이처 시그니처 친환경섬유인증생리대
산업용 퇴비화조건에서
생분해, 퇴비화 진행크리넥스 종이물티슈
FSC인증
천연펄프원단사용하기스 네이처메이드 기저귀
사탕수수 자연유래 소재
온실가스 저감 기여 -
포장재 저감 제품
크리넥스
/좋은느낌 메가롤/대용량크리넥스 마스크
종이 패키지포장재 사용량 40% 절감
화장지 지관 50% 감소 -
대체 플라스틱 포장 적용
모든 패키지 비닐류
Recycled
Contents 적용
신규플라스틱
사용량 저감일부 용기 PET류
Bio-PET 적용
신규플라스틱
사용량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