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6년생(29세) 김소연 씨의 2050년?
-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유럽, 미국 및 일본보다 빨라
2014년 29살 김소연 씨가 65세가 되는 2050년 국내 인구의 평균 연령은 53.4세며,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 비중도 38.2%로 급증합니다.
고령 인구가 증가로 젊은 층의 일자리는 줄고 증가된 노년층의 경제, 의료 지원 등 복지 비용의 증가로
젊은 층의 세금, 연금, 건강보험료 부담이 늘어나 젊은 세대의 불만이 커지면서 사회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회 고령화는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대단히 위험한 현상입니다.
- 100세시대 준비
-
복지의 대상인 수동적 고령층이 액티브 시니어로 바뀐다면,
사회 복지 비용의 감소 등 고령화가 야기하는 수많은 경제적 .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고령층이 사회의 생산주체로 바뀌므로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시니어산업 성장 기회

우리나라 시니어산업 비중이 16% 이상 된다면
경제규모가 커지고 일자리와 소득 증가로 연결 가능